.. _managing-nodes:

노드 관리
==============

.. note:: 등록된 노드의 상태 확인 부분은 :ref:`node-updown-status`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
노드 추가
------------
Genian ZTNA는 자동으로 활성 노드를 감지하여 노드 목록에 등록합니다.
또한 노드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전에 노드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때 노드를 사전 등록하고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
#. 상단 항목의 **관리 > 노드** 로 이동합니다.
#. **작업선택 > 노드장비관리 > 노드등록** 를 클릭합니다.
#. **노드등록** 팝업창에 내용을 입력합니다. 

IP만 입력하거나 MAC만 입력하거나 둘 다 입력하여 노드를 등록 할 수 있습니다.(*기타 값은 선택 사항*)

 #. **IP** 는 ``IP 주소`` 를 입력합니다.
 #. 연속으로 노드의  IP를 여러개 등록하려면 **미사용 IP 다중등록** 항목을 선택합니다.
 #. 특정 IP 정책을 설정하기 원한다면 **IP 정책설정** 항목을 선택합니다.
      -  **IP 허용 - 충돌보호 해제** 
      -  **IP 허용 - 충돌보호 설정** 

 #. 노드의 사용 시작 기간을 설정합니다. **IP 사용 시작** 체크 후 달력에서 시작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합니다.
 #. 노드의 사용 종료 기간을 설정합니다. **IP 사용 종료** 체크 후 달력에서 시작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합니다.
 #. **IP 사용 신규노드정책**
      -  **MAC 허용**
      -  **충돌보호 설정**
      -  **변경금지 설정**
      -  **충돌보호 설정 / 변경금지 설정**


 #. **MAC** 은 ``MAC 주소`` 를 입력합니다.
 #. 특정 MAC 정책을 설정하기 원한다면 **MAC정책설정** 항목을 선택합니다.
 #. 노드의 사용 시작 기간을 설정합니다. **IP 사용 시작** 체크 후 달력에서 시작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합니다.
 #. 노드의 사용 종료 기간을 설정합니다. **IP 사용 종료** 체크 후 달력에서 시작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합니다.

 #. **관리센서** 노드는 등록 할 센서의 위치를 선택합니다.
 #. **노드타입** 등록 할 노트 타입을 선택합니다.
 #. **노드삭제 금지** 노드를 삭제 할 수 있는지에 대한 ``on`` 또는 ``off`` 여부를 선택합니다.
 #. **등록** 버튼을 클릭합니다.


노드 일괄등록
------------------

CSV 파일을 사용하여 한 번에 여러 노드를 등록 할 수 있습니다.


#. 상단 항목의 **관리 > 노드** 로 이동.
#. **작업선택 > 노드장비관리 > 노드일괄등록**
#. 노드일괄등록 선택 후 **CSV** 의 **파일선택** 메뉴를 클릭합니다.
#. 파일 탐색기에서 등록포맷에 대한 생성 된 CSV 파일 을 선택합니다.
#. 노드를 등록할 드롭다운 메뉴에서 적절한 **센서** 를 선택합니다.
#. **가져오기** 버튼을 클릭합니다.

.. Note:: CSV 파일의 형식이 올바르지 않으면 노드가 등록되지 않습니다.

노드삭제
-----------

비활성 노드 데이터를 삭제하여 네트워크 노드 보기를 더 잘 구성 할 수 있습니다. 정책을 통해 비활성 노드를 삭제할 수 있으며, 
또는 노드를 네트워크에서 더 이상 찾을 수 없으므로 수동으로 삭제합니다.



비활성 노드 수동으로 삭제
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

#. 상단 항목의 **관리 > 노드** 로 이동
#. 원하는 비활성 노드를 찾아 **체크박스** 을 클릭합니다.
#. **작업선택 > 노드장비관리 > 노드삭제** 를 클릭합니다.

.. warning::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동작 중인 노드를 실수로 삭제하면 해당 노드가 즉시 새롭게 등록 됩니다. 


정책을 통해 비활성 노드 제거
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

#. 상단 항목의 **정책** 으로 이동
#. 왼쪽 정책 항목에서 **정책 > 노드정책** 으로 이동합니다.
#. 노드정책 항목에서 **정책이름** 을 찾아서 선택합니다.
#. 노드정책 항목에서 **관리정책 > 비활성노드삭제**
#. 일정 기간 비활동 후 노드 삭제 시간을 설정: ``30`` (*일정 기간 노드가 오프라인 일 경우 자동으로 삭제 됩니다. 기본값은 30일*)
#. **수정** 을 클릭합니다.
#.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서 **변경정책적용** 을 클릭합니다.

오래 된 노드 삭제 
^^^^^^^^^^^^^^^^^^^^
정책 서버는 IP가 변경된 후 다운상태의 노드 정보를 기본적으로 최대 3 일 동안 유지합니다.

#. **설정 > 환경설정 > 노드관리 > 노드정리**
#. **IP변경노드삭제** 메뉴 찾기
#. 노드 IP변경 시 설정된 날짜 이상 다운상태를 유지하는 오래 된 노드를 삭제 할 시간을 설정합니다. : ``3`` (*기본값은 3일입니다.*) 
#. **수정** 을 클릭합니다.
#.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서 **변경정책적용** 을 클릭합니다.

노드 호스트명 모니터링
----------------------

호스트명 정책을 준수하기 위해 신규노드를 선별할 수 있습니다.

노드 정책에 따라 노드에 허용되는 호스트명을 지정 할 수 있습니다.  허용 된 노드 호스트명에 대한 기준은 인증 된 사용자 속성, IP주소 또는 템플릿을 기반으로 구성 할 수 있습니다. 

#. 관리 WebUI 접속
#. 상단 **정책** , 좌측 패널의 **정책 > 노드정책** 
#. 변경할 노드정책명을 클릭
#. **관리 정책** 의 **신규노드 호스트명제한** 항목 **On** 
#. 표준 호스트명을 입력하거나 **설정** 을 클릭하여 템플릿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윈도우 호스트 이름은 **호스트명 변경**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참고: :ref:`computer-name`


노드바구니 사용법
-------------------

노드바구니는 테스트나 모니터링 지정 노드 작업 등 다양한 관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룹화 툴입니다. 정책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 

노드바구니에 추가
^^^^^^^^^^^^^^^^^^

#. 상단 **관리 > 노드** 이동
#. 원하는 노드를 찾아 좌측 **체크박스** 에 체크
#. **작업선택 > 노드 및 장비 > 노드바구니에 담기** 클릭
#. 팝업창에서 **확인** 클릭(추가된 노드는 좌측 **센서트리의 노드바구니** 항목에서 확인 가능)

노드바구니에서 제거
^^^^^^^^^^^^^^^^^^^^^

#. 상단 **관리 > 노드** 이동
#. 좌측 센서트리에서 노드바구니 항목을 선택
#. 우측 노드리스트에서 제거할 노드의 체크박스 선택
#. 상단 **선택 노드바구니 비우기 OR 전체 노드바구니 비우기** 클릭
#. 팝업창에서 **확인** 클릭

노드 타입 확인하기
-------------------------

노드타입은 네트워크 센서와 에이전트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시스템에서 정의된 항목으로 분류하는 추가적인 정보입니다.

.. note:: #. 노드타입에 대한 분류에 대한 부분은 다음에 :ref:`device-platform-intelligence`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          #. 노드타입을 사용하여 노드그룹을 생성하는 부분은 다음에 :ref:`node-group-detail`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노드 타입 신규로 생성하기
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

GDPI를 통해 식별된 장비 플랫폼을 시스템에서 관리하기 위해 노드타입을 지정하게 됩니다.
이때 시스템에서 정의된 노드타입이 아닌 사용자가 정의한 노드타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노드타입을 생성해야 합니다.

#. 상단 패널에 **설정** 으로 이동합니다.
#. 왼쪽 **속성관리** 항목에서 **노드타입 관리** 를 선택합니다.
#. **작업선택** 에서 **생성** 을 클릭합니다.
#. 이름과 아이콘을 설정한 후 **생성** 을 클릭합니다.

노드 타입 지정하기
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^

시스템에서 정의된 노드타입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지정되나 사용자가 정의한 노드타입은 수동으로 지정해야 합니다.

.. note:: 확인된 노드타입으로 지정할 경우 수집되는 정보에 의한 노드타입 정보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.

#. 노드타입을 지정할 **노드** 를 검색합니다.
#. 노드 IP를 선택하여 **노드정보 탭** 을 확인합니다.
#. **플랫폼상태** 항목에서 **노드타입, 지정, 확인된 노드타입** 부분을 설정합니다.
#. **수정** 버튼을 클릭합니다.


.. list-table:: 
   :widths: 10 30
   :header-rows: 1

   * - 항목
     - 설명
   * - 노드타입
     -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지정되는 타입으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됩니다. 수집되는 정보가 변경되면 노드타입은 변경됩니다.
   * - 노드타입(지정)
     -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지정되는 타입이 아닌 관리자가 수동으로 지정합니다. 수집되는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타입은 지정된 형태로 유지됩니다.
   * - 노드타입(확인된)
     -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지정되는 타입과 별개로 관리자가 수동으로 지정합니다. 수집되는 정보가 변경되면 노드타입은 변경되나 확인된 노드타입은 지정된 형태로 유지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