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터페이스 제어

단말의 유선,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
  • 관리자가 유선, 무선 차단 정책으로 정의하여 단말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

  1. 상단 메뉴의 정책 으로 이동합니다.

  2. 왼쪽 메뉴 트리에서 정책 > 노드정책 > 노드액션 으로 이동합니다.

  3. 상단 운영체제 드롭다운 메뉴에서 Linux 를 선택합니다.

  4. 노드액션 리스트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를 찾아 클릭합니다.

아래 기본설정 이 있습니다.

  1. CWP 메시지 의 경우 정책에 따라 표시 할 메시지를 추가합니다.

  2. 라벨 의 경우 라벨 을 추가하면 "설명" 입력란에 표시되는 맞춤 라벨로 플러그인을 분류 할 수 있습니다.

아래의 액션 수행설정 을 구성합니다.

  1. 타입별 차단 의 경우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할 네트워크 유형을 지정합니다.

    • 제어 안 함: 단말의 모든 인터페이스에 대해 제어하지 않습니다.

    • 전체: 단말의 유선, 무선의 인터페이스를 차단합니다.

    • 유선: 단말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차단합니다.

    • 무선: 단말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차단합니다.

  2. 브리지 차단 의 경우 브리지 인터페이스를 사용안함으로 강제화합니다. 기본장치 예외 옵션과 상관없이 차단됩니다.

  3. Promiscuous 차단 의 경우 Promiscuous인 인터페이스를 사용안함으로 강제화합니다. 기본장치 예외 옵션과 상관없이 차단됩니다.

  4. 차단 알림 의 경우 인터페이스 차단 이벤트에 대해 사용자에게 옵션 별(사용자메시지 or 에이전트팝업)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.

    • 사용 안 함: 장치가 차단되어도 사용자에게 차단 알림을 하지 않습니다.

    • 에이전트 팝업: 직접 사용자에게 보일 메시지를 정의하며 사용자 스스로 장치를 복구하고 위험 해제할 수 있도록 합니다.

    • 사용자 메시지: 에이전트 기본 팝업창을 사용하여 장치가 차단됨을 알립니다.

  5. 인터넷연결공유 의 경우 인터페이스의 인터넷 연결공유 속성을 해제합니다.

  6. IPv6 의 경우 인터페이스의 IPv6 속성을 해제합니다.

  7. Wi-Fi 임의 하드웨어 주소 의 경우 무선랜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주소 임의정의 기능을 비활성합니다.

  8.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.

  9. 왼쪽 정책 항목에서 노드정책 으로 이동합니다.

  10. 노드정책창에서 기본정책 을 클릭합니다.

  11. 노드액션 설정 을 찾아 할당 버튼을 클릭합니다.

  12. 사용가능 항목에서 인터페이스 제어 를 찾아 선택 항목으로 드래그하여 이동합니다.

  13.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.

  14.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.